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맞춤법

(2)
로서 로써 차이, 구분하는 방법 가장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인 '로서, 로써'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흔히 쓰이는 말이지만 헷갈리는 탓에 혼동하여 쓸 떼가 많습니다. 오늘 두 용어의 확실한 차이와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▶ ~로서 / ~로써 차이 '~로서'와 '~로써'는 모두 받침 없는 체언이나 'ㄹ'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는 조사입니다. 그렇지만 그 쓰임은 확연히 다릅니다. 일단 사전적 의미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. 로서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 조사. (예스러운 표현으로)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을 나타내는 격 조사. 로써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는 격 조사. '로'보다 뜻이 분명하다.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 조사. '로'보다 뜻이 분명하다. 시간을 셈할 때..
닦달하다 vs 닥달하다 - 틀리기 쉬운 맞춤법 닦달 vs 닥달 맞는 표현은 무엇일까? 닦달과 닥달, 흔히 쓰이는 단어지만 헷갈려서 틀리기 쉬운 맞춤법 중 하나입니다. 일단 닦달하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. 닥달은 닦달의 비표준어입니다. 닦달이란? 남을 단단히 윽박질러서 혼을 냄. 물건을 손질하고 매만짐. 음식물로 쓸 것을 요리하기 좋게 다듬음. 예문 얼른 물건을 보내달라고 닦달하였다. 낡은 가구도 닦달만 잘하면 새것처럼 깨끗해진다. 요리하기 위해 채소를 닦달했다.

반응형